귀촌 한지 열달 째로 접어 들었다.
말로만 들어왔던 각종 나물들을 알아가고 약초가 있는 식물들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옻나무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나무가 옻나무인지도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그리고 옻나무 순이 봄나물의 제왕이란 소리를 처음 들었다.
태어나서 옻 알러지로 고생한 적이 여섯 번 있는데 그 중 네 번이 귀촌한지 10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요즘 울안에 있는 옻나무가 한 참 새싹을 틔우고 있다.
생옻순이 참 고소하고 맛있다고 한다.
옻알러지로 고생을 하여 딸랑 한 개의 생 옻순을 먹었고 나머진 데쳐서 나물로 먹었는데
참 맛있었지만 결국 영광의 상처가 온몸 가득하다.
가슴, 배, 허벅지 엉덩이 팔뚝 등 온몸이 전부 가렵다.
4월 중순 쯤 서리가 내려 옻순이 검게 죽었다 다시 피다보니 좀 늦은것 같다.
이곳 임실은 지자체에서 옻나무 재배를 권장한다.
메뚜기도 한철이라는데 요즘 옻순이 참 탐스럽게 싹을 틔우고 있다.
땅주인의 허락을 받고 옻순을 채취해 택배시간을 마추느라 허둥지둥 맨손으로 몇 곤데로 나누고 저녁에 나물로 해 먹었는데 여지 없이 옻 알러지가 찾아와 나를 괴롭힌다.
옻나무와 친해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한 번 옻알러지 반응이 오면 일 주일은 고생이다.
얼마나 더 알러지로 고생하면 면역이 생기는지 실험해 볼 생각이다.
옻 알러지엔 칠해목이 특효라고 한다.
일명까마귀 밥닌무로 알려진 친해목을 푹 달려 그 물을 마시면 100% 바로 완치 된다고 하는데 아직 자연에서 칠해목을 발견하지 못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였다.
칠해목은 (까마귀밥여름나무) 라 하며, 옻독을 푸는 칠해목 생약명으로 등롱과 범위귀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칠해목을 달여먹으면 옻독이 풀린다.
자연에는 모든 질병을 고칠 수 있는 약이 있다.
그럼에도 질병으로 신음하고 죽어가는 사람이 많은 것은 사 람이 자연을 알지 못하고, 또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옻독을 푸는 데 신약 이라고 할 칠해목(漆解木)에 대한 이야기도 식물의 생태를 나름대로 연구하던 중에 알게 된 것이다.옻나무를 만지거나 몸이 닿으면 옻이 오르는 사람이 많다.
옻으로 인한 피부염은 농촌 사람들한테 매우 심한 고통 을 주는 질병 중에 하나이다.
몸에 열이 많으며 혈액형이 O형이고 소양체질인 사람이 옻을 심하게 탄다.
옻 에 민감한 사람은 옻나무 옆을 지나가거나 보기만 해도 옻이 오른다.
옻이 올랐을 때 쓰는 민간요법으로 쌀을 씹어서 바르거나, 날달걀을 깨어서 바르거나, 밤나무 삶은 물을 바 르거나, 백반을 녹여서 바르거나 하는 방법들이 있다.
웬만한 증상은 이런 방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옻이 온 몸에 올라 퉁퉁 붓고, 진물이 흐르고, 몹시 가렵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어떤 치료법을 써도 잘 낫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독이 있으면 그 독을 풀 수 있는 약도 가까이에 있는 것이 오묘한 자연의 법칙이다.
칠해목으로 옻독을 치료하는 방법
1, 칠해목 잎과 줄기 200그램을 생으로 잘게 썰어 따뜻한 물 4리터에 2시간 쯤 담가두었다가 천천히 불을 때 면서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다. 이렇게 달이면 진한 맥주 빛깔이 나는데 이것을 천으로 걸러서 한 번에 100밀리리터씩 하루 3번 마신다. 증상이 가벼운 사람은 2∼3일, 심한 사람은 3∼7일 동안 복용한다.
2, 칠해목 달인 물을 복용하면 첫날부터 염증이나 화끈화끈하고 가려운 증상, 부종 등이 없어지고 살갗이 꾸 득꾸득하게 마르면서 깨끗하게 낫는다. 부작용과 독성이 없으며 100퍼센트 완치된다. 다른치료법 보다 효과 가 두 배 이상 빠르며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치료법이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칠해목을 중국 본초도감에서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라고 되어 있으며, 북한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풍을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출혈, 통증, 해소 등을 멈춘다." 허리와 뼈마디 가 아픈데, 산후출혈, 월경과다, 타박상, 옹저, 옴 등에 잘 듣는다. 피부병에 사용할 때는 달인 물로 씻는 다. 민간에서는 불면증에도 사용한다. 열매는 위통, 위궤양에 사용한다. 즙을 내어 먹거나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이뇨제로도 사용한다.
이질균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다. 전염성 간염에 신선한 것 240그램을 달 여서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며, 간 기능 회복등에 좋은 효험이 있다. 부작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600g을 구입하였으니 열심히 먹고 열심히 옻순을 채취해 먹어야겠다.
과연 얼마나 옻알러지에 효과가 있을지 나도 궁금하다.
'옻나무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옻 해독 옻의 효능 우르시올이란? 알레르기(독성) 치료에 좋은 칠해목 (0) | 2021.01.12 |
---|